헤더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조태열 장관, “대북 확성기보다 더한 대응, 전적으로 北에 달려”
2024-06-16 20:49 정치

조태열 외교부장관이 최근 북한의 잇단 도발에 우리 정부가 대북 확성기 방송을 6년 만에 재개한 것과 관련해 “앞으로 북한이 어떻게 하는지에 따라 우리의 대응 조치 수위가 달라질 것”이라고 북한을 강도 높게 비판했습니다. 또 “확성기 방송을 (추가로) 재개할지 그보다 더한 대응을 할 지는 전적으로 북한에 달렸다”며 고강도 대북 압박 카드를 추가로 꺼낼 수 있다는 가능성도 예고했습니다.

조 장관은 16일 오후 채널A ‘뉴스A’에 출연해 북한의 대남 오물 풍선 살포와 위성항법장치(GPS) 전파 교란 등 잇단 도발에 대해 우리 정부가 9·19 남북 군사 합의 효력 정지 및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 조치를 내린 것에 대해 “‘절제된 대응’을 했다고 생각한다”고 평가했습니다. 이어 “이탈리아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도 북한 규탄 목소리가 나오는 등 국제 사회도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조 장관은 향후 북한에 대한 대응을 묻는 질문에 “앞으로 북한이 어떻게 하는지에 따라 우리의 대응 조치 수위도 달라질 것”이라며 “대북 확성기 방송을 (추가로) 재개할지, 그보다 더한 대응을 취할 지는 전적으로 북한에 달렸다”며 공개적으로 북한을 압박했습니다.

18~19일로 예정된 것으로 알려진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방북 등 러북 밀착에 대해서도 강도 높게 비판했습니다. 조 장관은 “우크라이나와 전쟁을 벌이는 러시아가 북한으로부터 미사일 탄약 등 무기 지원을 받아야 하고, 반대 급부로 러시아가 북한에 다방면에 지원을 하고 있다”며 “푸틴 대통령의 방북은 러북 상호 간 필요에 의해 이뤄진 것이라 장기적으로 이어질 지는 두고 봐야 할 것”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러북 밀착이 한반도 평화 안정에 저해돼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고 이에 대해 러시아 측에 경고했다”며 “이번 방북 결과에 따라 (러시아와 북한에) 필요한 대응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중 관계에 대해서는 ‘솔직한 대화’를 강조했습니다. 조 장관은 “지난 달 중국에서 왕이 중국 외교부장을 만난 자리에서 ‘대만 문제는 중국의 핵심 이익이 달려 있기 때문에 (중국의 입장을) 존중하듯, 북한의 비핵화 문제도 우리에게 실질적인 위협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우리 입장을 존중해야 한다’고 솔직히 말했다”며 “서로 차이를 인정하며 협력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 나가는 것이 한중 관계에서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시각 주요뉴스

댓글
댓글 0개

  • 첫번째 댓글을 작성해 보세요